Sun 시스템 관련 명령어.
1. 시스템의 전원을 켠 후 auto-boot 가 disable되어 있으면 ok (PROM) promprt로 나옴.
ok
ok boot - 부팅을 하는 경우.
ok boot -s - 시스템 체크 및 점검을 하는 경우 Single User Mode로 부팅.
ok boot cdrom - cdrom으로 부팅을 하는 경우. (O/S Install 시 사용)
2. 시스템의 사양 확인.
# /usr/platform/sun4u/sbin/prtdiag -v | more
3. OBP 버전 확인
# prtconf -V
4. 현재 런 레벨
# who -r
5. 디스크 사용 명령어
# du -sk . 현재 위치에서 디스크 총 사용량 KB 단위로 나타냄
# df -k 슬라이스 별 디스크 사용 정보를 나타냄
6. 파일 찾기
# find / -name xx.txt -print
7. 네트웍 정보 보기
# netstat -i TCP/IP network interfaces 보여준다
# netstat -r 네트웍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준다
# netstat -rn 호스트네임 보기를 제외한 라우팅 정보를 보여준다
# netstat -a |more 모든 소켓의 상태를 보여준다
# ifconfig -a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보여준다
# ifconfig hme0 plumb/unplumb 사용할 인터페이스를 추가/제거 하는 명령어
# ifconfig hme0 IP netmask 255.255.255.0(netmask) broadcast + up 인터페이스에 IP 와 넷마스크 설정 명령어
8. 네트웍 튜닝
# ndd -get /dev/hme(해당 인터페이스) \? |more 네트웍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 값을 보여준다
# ndd -set /dev/hme parameter 네트웍 인터페이스의 파라미터 값을 설정한다
9. 터미널 옵션 설정
# stty erase ^H Backspace 키로 지우기
# stty erase ^? Delete 키로 지우기
Veritas NetBackup Home Directory
10. 스왑파일
# swap -l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왑장치 보여준다
# swap -s 사용 가능한 스왑 공간을 보여준다
/usr/openv/netbackup/
11. 파일 생성
# mkfile 100m test test 라는 100MB 파일 생성
12. 현재 OS 가 32-bit mode or 64-bit mode 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 isainfo -v
결과 : 64-bit sparcv9 applications
32-bit sparc applications
13. default router 설정
# route add default 192.168.1.1 1 디폴트 라우트 추가
# route delete default 192.168.0.1 디폴트 라우트 제거
14. 백업 관련 명령어
# tar cvf /dev/rmt/0 file_names 또는
# tar cvf /dev/rmt/0 directory_names
위와 같이 하면 기존 tape의 내용은 없어지고 그 위에 overwrite 된다
기존의 내용을 보존하고 그 뒤에 append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한다.
사용하는 device name은 no-rewind를 위해 "/dev/rmt/0n","/dev/rmt/1n"을
사용한다.
# tar tvf /dev/rmt/0n : tape reader의 pointer를 tar화일 끝으로 이동
# mt fsf 1 : EOF(End Of File) signal skip
# tar tvf /dev/rmt/0n : tape reader의 pointer를 다음 tar화일 끝으로 이동
# mt fsf 1 : EOF(End Of File) signal skip
# tar tvf /dev/rmt/0n
tar: tape read error : unexpected EOF : 더이상 읽을 화일이 없음
# tar cvf /dev/rmt/0n file_names
# mt fsf 1
# tar cvf /dev/rmt/0n file_names
# mt -f /dev/rmt/0n rew : tape rewind
# mt -f /dev/rmt/0n offline : tape을 device에서 분리
# tar xvf /dev/rmt/0 : 현재의 directory에 Tape의 내용을 restore
tar tvf /dev/rmt/0 : Tape의 내용을 볼때
15. 특정 명령어의 메뉴얼 보는 명령어
# man ifconfig(명령어)
16. 확장자가 cpio 인 파일 풀기
# cpio -idmv < solaris64_9.2.0.1.0.Disk1.cpio
devalias :
printenv :
setenv boot-device :부트 디바이스 선택 명령
ex) setenv boot-device {cdrom|disk} 디스크나 시디롬으로 부팅
set-defaults :prom mode 설정값 초기화
stop +a :prom mode
boot -s :싱글부팅 (ok 모드에서 실행)
boot cdrom -s :시디롬으로 부팅
probe-sci :스카스 디바이스 확인
probe-ide :ide 디바이스 확인
명령어 정리
시스템 정보의 확인
우선 솔라리스의 버전 확인 방법부터 알아보자. 솔라리스의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단 GUI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화면 5)의 방법대로 솔라리스 데스크톱(CDE)에서 메뉴를 선택해 확인할 수 있으며, 직접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해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CDE에서는 프론트 패널에서 (화면 5)와 같이 CPU/DISK 성능을 보여주는 패널의 확장 화살표를 선택한 후,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썬OS 커널 릴리즈, 시스템 패치 정보, 시스템의 종류, 설치된 메모리와 사용중인 가상 메모리, IP 주소 등 기본적인 정보를 모두 얻을 수 있으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또한 썬과 같은 대형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그래픽 환경이 아닌 텍스트 기반의 콘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 시스템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터미널에 다음과 같은 명령을 입력해 보자.
#uname -a
#cat /etc/release
첫줄에 나오는 uname은 시스템의 기본적인 정보(썬OS 커널 릴리즈, 설치된 커널 패치, 시스템 이름 등)을 얻을 때 사용하는 가장 기초적인 명령이다. 옵션에 따라서 모든 시스템 정보를 보여주거나, 혹은 필요한 정보만 볼 수도 있다. 명령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일단 생략하겠다.
참고로 여기서 언급된 썬OS 출시 정보에는 5.8로 표시되는데, 이것은 솔라리스 버전과는 다르다. 솔라리스는 크게 썬OS 부분(운영체제 커널)과 그래픽을 담당하는 오픈윈도우 버전을 다르게 얘기한다. 이유는 솔라리스는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의 시스템과 달리 같은 커널에서 여러 종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KDE, Gnome 등)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각각의 버전을 분리해서 언급해 왔다. 편의상 오픈 윈도우는 3.x대로 고정된 이래 솔라리스의 버전은 커널 버전을 그대로 가져다 쓰다가 최근에는 커널 버전의 뒷자리만을 사용한다. 즉, 솔라리스 8은 썬OS 5.8이고 솔라리스 7은 썬OS 5.7이다. 그러나 솔라리스 버전이 9라고 하더라도 커널 버전은 썬OS 5.8.1일 수도 있다.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은 마케팅적인 요소가 가미됐기 때문이다.
시스템 장치의 정보 확인
시스템의 장치라 함은 기본적으로 CPU, 메모리, 각종 카드와 전원공급장치 혹은 냉각팬과 같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총칭해서 하는 말이다. 이같은 장치 정보들은 크게 CPU, 메모리와 기타 사용할 수 있는 I/O 카드를 포함한 여러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솔라리스에서 CPU와 메모리를 보여주는 명령어는 다른 장치에 비해서 매우 많다. 특히 메모리 관련 명령어들이 많은데,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알아보자.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해 보자.
#/usr/platform/`uname -i`/sbin/prtdiag | more
이 명령어는 (화면 7)과 같이 현재 시스템의 종류(범주)와 시스템 클럭, 총 메모리 크기, 구성돼 있는 시스템 보드의 수, 각 시스템 보드의 CPU와 메모리의 수와 종류, 메모리 읽기 방식(interleave), 설치된 I/O 카드(네트워크나 채널 I/O 등) 등을 아주 상세하게 나타내준다. 또한 썬 서버에 한해서 나오는 정보이긴 하지만 시스템에 구성된 보드 중, 발생한 장애와 현재 구성돼 있지만 사용되지 않는 시스템의 정보에 대해서도 언급되고 있다.
일반 PC 사용자들은 시스템 보드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힘들 수 있는데, 이것은 PC의 마더보드에서 CPU와 메모리만을 설치한 보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썬 서버는 많은 CPU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므로 CPU와 I/O 연결이 분할돼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CPU 추가는 당연히 시스템 보드 기반에서 추가/삭제해야 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I/O 정보들은 언뜻 이해하기 어려운 것 같으나, 사실 썬이나 관련 협력업체들이 편의에 따라 이름을 지은 것이라 익숙하지 않아서 그럴 뿐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예제를 보자.
Brd Type MHz Slot Name Model
1 SBus 25 0 network SUNW,sbus-gem
이것은 SUNW,sbus-gem이라는 모델의 네트워크 카드가 Sbus 타입의 I/O 보드 1번의 0번 슬롯에 설치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여기서 SUNW, sbus-gem이라는 모델에 대해서만 알면되는데 이건 제조사(썬 혹은 카드 공급사)에게 문의하면 알 수 있다. 여기서는 SUN에서 제작한(SUNW : 혹은 SUNW이 공급하는) sbus용 gem(기가비트 멀티모드 파이버 연결)카드라는 것을 의미한다.
간혹은 모델명만 있고 이름이 없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경우에서는 이름까지 자세하게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시스템 패치 정보 확인
솔라리스 역시 다른 일반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버그가 있을 수도 있으며, 혹은 최초의 고안이 변경돼, 다른 형태로 바뀌거나, 기능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럴 때는 썬에서 공급하는 패치를 설치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거나 혹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서버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런 패치를 확인하고 항상 최신 패치로 업데이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패치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운영체제의 보안 부분이다. 솔라리스의 어떤 부분에 보안 구멍이 발견되면, 썬에서는 곧 이 문제를 해결하는 패치를 공급하므로 서버 관리시에는 새로운 패치가 나왔는지 확인하고, 자신의 시스템 패치와 비교해 꾸준히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좋다. 단, 서버에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런 애플리케이션들이 새로운 패치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썬에서 제공하는 ‘권장 패치(Recommended Patch Cluster)’는 이런 문제가 거의 없기는 하지만, 만약의 경우를 생각해 릴리즈 정보를 세심히 읽어볼 필요가 있다. 썬에서 제공하는 패치는 sunsolve.sun. com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이제 솔라리스에서 설치된 패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솔라리스에서 패치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showrev -p
그런데 처음 솔라리스가 설치될 때 이미 많은 패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처음 설치된 상황에서도 (화면 8)과 같이 꽤 많은 패치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more’명령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제 표시된 패치 정보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다음 예제를 보자.
Patch: 109134-22 Obsoletes: 110618-04, 110627-01 Requires: 109318-06, 110386-01
Incompatibles: Packages: SUNWwbapi, SUNWwbcor, SUNWwbcou, SUNWmgapp
이것은 109134-22라는 패치가 설치돼 있으며, 이 패치의 설치로 인해 110618-04, 110627-01이 쓸모없어 제거됐으며(Obsoletes), 이 패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109318-06과 110386-01 먼저 설치돼야 하고, 관련 패키지는 SUNWwbapi 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howrev 명령으로 패치 정보를 확인하면 설치된 모든 패치를 한번에 다 보여주지만, 앞에서 설명한 uname 명령으로도 커널 패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uname -v’는 설치된 커널에 적용된 설치된 커널에 적용된 최신 패치를 보여 주며, ‘#uname -srv’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썬OS 커널과 함께 본다.
#uname -srv
SunOS 5.8 Generic_108528-13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은 당연히 CPU와 메모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메모리는 실제 시스템에 설치된 물리적인 메모리의 크기를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솔라리스에서 메모리의 크기는 물리적인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를 더한 크기를 알아야 할 경우도 있다. 즉, 솔라리스의 가용 메모리라고 언급될 때는 가상 메모리로 사용되는 스왑의 크기를 알아야 한다.
가상 메모리의 확인
앞에서 CDE에서 본 시스템 정보(화면 5)에 나타난 가상 메모리의 크기는 물리적인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로 사용되는 디스크 영역의 크기가 합쳐진 것이다.
솔라리스에서는 가상 메모리로 사용될 영역을 디스크의 고정 파티션이나 파일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 다음 명령어를 솔라리스의 가상 메모리를 확인할 수 있다.
# swap -s
총: 14179856k 바이트 할당 + 2054888k 예약 = 16234744k 사용, 35364088k 사용 가능
#swap -l
swapfile dev swaplo 블록 사용 가능
/dev/dsk/c0t1d0s2 118,2 16 34964464 27113856
/dev/dsk/c0t1d1s1 118,9 16 52463600 44596912
일반적인 사항은 ‘#swap -s’를 사용하지만, 좀 더 자세한 사항은 ‘#swap -l’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l’을 사용해서 얻은 결과를 보면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스왑 영역은 두개로 그 중 첫번째 파티션을 보면 블록은 512바이트 단위로 c0t1d0s2라고 지정된 디스크 파티션을 가상 메모리 영역으로 사용한다고 정의돼 있다. 크기는 34964464이며 이 수치는 16GB에 해당한다. 그중 사용할 수 있는, 즉 남은 영역은 12GB로서 4기가바이트 정도를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시스템의 실제 메모리의 크기가 모자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없는 상태일 때, 디스크에 여유가 있다면, swap 명령어로 시스템 메모리를 확장할 수도 있다.
디스크 정보의 확인
시스템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 중 하나가 바로 디스크다. 디스크는 운영체제가 설치돼, 부팅시 사용되기도 하지만 앞서 언급된 가상 메모리로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디스크는 그야 말로 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그런데 시스템의 부품 중 가장 기계적인 작동이 많아서 고장 발생율도 많은 부품이므로 상당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일단 시스템에 장착된 디스크를 알아야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도 만들 수 있으며, 패키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솔라리스는 실제 물리적인 디스크를 직접 관리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이 과정을 다른 말로 파일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한다. 실제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은 뒤에 따로 언급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시스템에 연결된 디스크가 무엇이고 이것이 어떻게 파일 시스템으로 구축됐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보자.
일단 시스템에 어떤 디스크가 몇 개나 붙어 있는지 보는 가장 좋은 방법은 ls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 ls -1 /dev/rdsk/*s2
2 /dev/rdsk/c0t1d0s2@
2 /dev/rdsk/c0t1d1s2@
2 /dev/rdsk/c1t6d0s2@
2 /dev/rdsk/c2t10d0s2@
2 /dev/rdsk/c2t11d0s2@
솔라리스는 장착된 디스크에 대한 물리적인 정보를 ‘devices.....’라는 디렉토리에 보관한 후 솔라리스가 실제 사용하는 이름으로 링크하는데 앞의 예제가 바로 그것이다. 이때 솔라리스는 물리적인 디스크에 대한 사용 방식을 두가지로 정의한다. 디스크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기 위한(raw device) 방법으로 ‘/dev/rdsk/...’에 링크를 저장하는 방법과, 디스크를 솔라리스의 파일 시스템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링크를 ‘/dev/dsk/...’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라클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시스템과 관련없이 로 디바이스(raw device)를 사용하기 때문에 ‘/dev/rdsk/....’ 밑의 파일을 사용한다. 한편 솔라리스가 직접 제어하는 파일 시스템은 블럭 디바이스(block device)를 사용하며 ‘/dev/dsk/....’ 밑의 디스크 링크를 사용한다.
따라서 어느 쪽이나 사용자가 앞의 예제와 같이 ls 명령을 실행하면 솔라리스가 인지한 디스크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앞의 예제에서 표시된 내용을 해석해보면 세개의 디스크 컨트롤러(c0,c1,c2)가 장착돼 있으며, 0번 컨트롤러에는 t1 디스크 하나, 1번 컨트롤러에는 t6 디스크 하나, 2번 컨트롤러에는 t10과 t11이라는 두개의 디스크가 연결돼, 총 4개의 디스크가 시스템에 장착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디스크의 제조사 등 세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iostat’ 명령을 사용한다. 이 명령은 디스크의 활동을 감시할 때 주로 많이 사용되지만, 디스크의 제조사나 디스크에서 발생한 에러 등을 확인할 때도 사용된다. 디스크의 세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iostat -nE
(화면 9)에서 보면 앞에서 언급한 디스크별 제조사와 모델명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정보는 디스크 내부에 저장된 정보이므로 간혹 저장이 안돼 있을 경우도 있고, 대형 디스크들은 가상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를 RAID로 구성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정확하다고 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러나 디스크의 정보 획득이라는 차원에서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하겠다.
파티션 정보의 확인
솔라리스는 하나의 디스크를 최대 8개(0번부터 7번)의 영역(슬라이스)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파티션이라 한다. 즉, 특정 디스크를 찾고 나면 이 디스크가 어떻게 영역이 분할돼 있는지 알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디스크는 디스크의 전영역을 하나의 파티션으로 설정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하나의 디스크를 3개의 독립된 영역으로 구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각 슬라이스에 지정하는 크기만큼 영역을 할당해야 한다. 파일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야 하지만, 여기서는 일단 파티션 정보를 얻는 방법까지만 알아보고 차후에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다. 파티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특정 디스크에 대해 다음과 같이 ‘prtvtoc’ 명령을 수행해야 한다(화면 10).
#/usr/sbin/prtvtoc
기타 장치 중에 중요한 장치는 네트워크 카드와 그래픽 카드 등이 있다. 이같은 장치의 설치 정보는 앞서 CPU와 메모리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했던 ‘prtdiag’로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운영체제에서는 이런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별도의 명령어를 제공하는데 그것이 바로 ‘prtconf’ 명령이다.
기타 정보
그러나 이 명령어는 시스템의 모든 구조를 체계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원하는 내용만 자세히 살피기 위해서는 카드의 종류나 모델명 등을 통해 ‘grep’ 명령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m64 그래픽 카드가 설치돼 있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해 보자. 하지만 대개의 네트워크 카드는 자세한 모델명을 알아야 한다.
#prtconf | grep -i m64
#grep -i hme /etc/path_to_inst
이같은 방법으로 설치된 장치를 확인한 후에는 장치를 관리하는 명령어를 알아야하는데, 솔라리스는 여기에 좀 어려운 점이 있다. 대개 그래픽 카드 관리 명령어는 ‘ffbconfig’ 명령어를 사용해 현재 해상도나 수직 주파수 등을 알아낼 수 있지만, 앞의 예제과 같이 m64 그래픽 카드가 장착돼 있는 경우는 ‘m64config’ 명령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카드의 경우, 이같은 방법으로 카드가 설치된 것이 확인됐다면 ‘iconfig’ 명령으로 현재 사용을 위해 설정돼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픽 카드와 네트워크 카드의 정보 확인은 각각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다.
# m64config -prconf
--- Hardware Configuration for /dev/fbs/m640 ---
ASIC: version 0x7c004750
DAC: version 0x0
PROM: version 104
Card possible resolutions: 720x400x88, 640x480x60, 640x480x72, 640x480x75
800x600x56, 800x600x60, 800x600x72, 800x600x75, 1024x768x87
1024x768x60, 1024x768x70, 1024x768x75, 1280x1024x75, 1280x1024x60
1152x900x66, 1152x900x76, 1280x1024x67, 1600x1280x76
1920x1080x72, 1280x800x76, 1600x1000x66, 1600x1000x76
1920x1200x70, 1280x1024x85, 1280x1024x76, 1152x864x75, vga, svga
1152, 1280, 800x600, 1024x768, 1280x1024, 1152x900, 1600x1280
1920x1080, 1600x1000, 1920x1200
Possible depths: 8, 24
Current resolution setting: 1152x900x66
Current depth: 8
# ifconfig -a
lo0: flags=1000849 mtu 8232 index 1
inet 127.0.0.1 netmask ff000000
hme0: flags=1000843 mtu 1500 index 2
inet 129.158.157.71 netmask ffffff00 broadcast 129.158.157.255
ether 8:0:20:a8:52:d0
용어설명
UNIX
유닉스. 다중사용자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개방형 운영체제. 상당 부분이 C 언어로 개발됐기 때문에 C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개발 환경으로 인식되고 있다. 프로그램 개발, 문서처리, 전자우편까지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이식성이 높아 대형 컴퓨터부터 마이크로컴퓨터까지 수많은 종류의 컴퓨터에서 사용된다. 유닉스의 시작은 1960년대 후반에 MIT, AT&T 벨 연구소, 그리고 GE(General Electric)에서 공동으로 멀틱스(multics)라고 불리는 실험적인 운영체제 연구에서 비롯됐다. 멀틱스 시스템의 목적은 많은 사용자들이 컴퓨터를 동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충분한 계산 능력과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원할 경우 자신의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었다.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한 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디스크 어레이 기술을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비. RAID 구현의 핵심이 되는 기술은 스트라이핑과 미러링. 스트라이핑은 디스크 어레이 내의 모든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로 가정해 데이터를 각 디스크에 나눠서 조금씩 기록하는 것으로 데이터 입출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미러링은 데이터를 기록할 때 같은 데이터를 여러 대의 디스크에 똑같이 저장하는 것으로,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다른 디스크로 대체하거나 복구할 수 있다. RAID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는 디스크와 어레이 하드웨어의 성능, 데이터의 저장 형태, 그리고 사용하는 RAID 기술의 수준이다.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문자가 아닌 그림 기호를 통해 컴퓨터와 사람이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나 소프트웨어로, 처음 제록스의 STAR 워크스테이션으로 시작돼 1984년 애플의 매킨토시에 표준 탑재됐다. 도스처럼 문자로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과 달리 GUI에서는 명령을 이미지화시켜 그림으로 표시해 놓은 아이콘을 누름으로써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swapping
스와핑. 메모리 크기의 제한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 전체 프로세스를 디스크로 이동시켜 메모리를 재확보하는 기능. 이런 일시적인 데이터 이동으로 생긴 파일을 스왑 파일이라 한다.
'Note > UNIX/LINUX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라리스 SVM (Solaris Volume Manager) Soft Partition (0) | 2013.09.07 |
---|---|
Xlib: connection to "localhost:0.0" refused by server (0) | 2013.09.07 |
cpio.gz 파일 압축 풀기 (0) | 2013.08.29 |
vi 로 파일 수정시 밀리는 현상 (0) | 2013.08.29 |
Unix / Linux backspace ^H 현상 (0) | 2013.08.29 |